티스토리 뷰

반응형

2025년 서울시 출산‧육아 지원금

임산부부터 신생아 가정까지, 받을 수 있는 혜택 총정리

출산 준비하면서 "서울시에서는 뭘 얼마나 지원해줄까?" 궁금하신거 알려드려요! 
정부 지원 외에도 서울시 자체 정책이 꽤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어서 임신 중부터 육아 초기까지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건 사실이예요. 
지금 받을 수 있는 것들, 간단히 정리해드릴게요.


1. 임산부 교통비 지원

  • 지원 금액: 1인당 총 70만 원
  • 지원 대상: 서울시 거주 임산부 (주민등록 기준)
  • 신청 시기: 임신 12주차 이후부터 출산 후 3개월 이내
  • 사용 범위: 지하철, 버스, 택시, 유류비, 하이패스 등
  • 신청 방법: 서울임신출산정보센터 또는 동주민센터

✔ 실제 사용해보면 교통 선불카드 형식이라 대중교통 이용할 때 편리합니다.
✔ 신청 시 산모수첩, 주민등록증, 임신확인서 등 지참 필요해요.


2. 서울형 산후조리비 지원

  • 지원 금액:
    • 단태아: 100만 원
    • 쌍태아: 200만 원
    • 삼태아 이상: 300만 원
  • 지원 대상: 출산 후 서울시에 주소가 있는 산모
  • 신청 시기: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
  • 사용 범위: 산후조리원, 산후 마사지, 건강식품 구입 등
  • 신청 방법: 복지로 또는 동주민센터

✔ 바우처 형태로 지급되며, 카드 등록 후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
✔ 출산 직후 바빠도 60일 안에는 꼭 신청하세요. 기한 지나면 소급 불가입니다.


3.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(2025년 신설)

  • 지원 금액: 총 720만 원 (월 30만 원 × 24개월)
  • 지원 대상 (모두 충족):
    • 2025년 1~6월 출산
    • 서울 거주 무주택 세대주
    •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
  • 신청 시기: 출산 후 6개월 이내
  • 신청 방법: 서울시 몽땅정보 만능키

 보증금 지원이 아닌 현금 월세 보조라서 실제로 월세 부담이 줄어들어요.
✔ 소득 기준 충족 여부는 ‘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표’를 확인하세요.


4. 출산 관련 기타 기본 지원 (서울 거주 여부와 무관)

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(고용보험 가입자 기준)

  • 출산휴가: 최대 90일, 급여 지원
  • 육아휴직: 최대 1년
    • 첫 3개월: 통상임금의 80% (상한 있음)
    • 이후: 50% 지원

국민행복카드

  • 지원금: 임신·출산 진료비 최대 100만 원 (2025년 기준)
  • 신청처: 카드사 또는 [복지로]

✔ 임신 확인 즉시 신청해 두면, 병원비 결제 시 실비 부담이 줄어들어요.


꼭 확인할 것들

 출생신고할 때 ‘아동수당’과 ‘부모급여’도 같이 신청할 수 있어요.
✔ 서울시민은 교통비‧조리비‧주거비 등 별도로 더 챙길 수 있어요.
✔ 모든 지원은 기한 내 신청해야만 지급돼요. 소급 적용 안 됩니다.


도움되는 신청처 정리


한 줄 꿀팁
서울시 출산지원금은 제때 신청만 하면 꼭 필요한 순간에 현금처럼 쓸 수 있는 제도입니다.
출산 계획이 있다면, 지금 미리 챙겨두세요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