육아/육아정보
2025년 서울시 출산 및 육아 지원금 총정리
새싹 미녀
2025. 6. 27. 09:00
반응형
안녕하세요!
오늘은 2025년 기준 서울특별시에서 제공하는 출산 및 육아 관련 지원금과 정책들에 대해 꼼꼼히 정리해 보았습니다.
예비 부모님들과 육아 중인 가정에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~~!
출산 관련 지원금
1. 서울형 출산축하금
- 지원 대상: 서울시에 거주하며 자녀를 출산한 모든 가정
- 지원 금액: 출생아 1인당 20만 원
- 신청 방법: 출생신고 시 함께 신청 가능 (주민센터 또는 온라인)
- 기타: 소득 수준과 무관하게 모두 지급됩니다.
2.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휴가급여 (임산부 및 배우자)
- 지원 대상: 1인 자영업자, 프리랜서 등 고용보험 미적용자
- 지원 금액:
- 임산부: 총 240만 원 (고용노동부 150만 원 + 서울시 90만 원)
- 다태아 산모: 최대 320만 원
- 배우자 출산휴가급여: 최대 80만 원
- 신청 방법: 서울시 '몽땅정보 만능키'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 신청
육아 지원금
1. 서울 아기수당
- 지원 대상: 만 0세 ~ 1세 미만 아기를 둔 서울 시민
- 지원 금액: 매월 20만 원 (최대 24개월 지급)
- 신청 방법: 동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
2. 아동수당
- 지원 대상: 만 0세 ~ 7세 미만 아동
- 지원 금액: 매월 10만 원
-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가능
3. 아이돌봄 서비스 바우처 (서울형 아이돌봄비)
- 지원 대상: 24~36개월 아동을 둔 가정, 중위소득 150% 이하
- 지원 내용: 아이돌봄 서비스 비용 일부 지원
- 신청 방법: 서울시 아이돌봄포털 또는 몽땅정보 만능키 누리집
주거비 지원
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
- 지원 대상: 2025년 1월 1일 이후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 가구 (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)
- 지원 내용: 월 30만 원씩 2년간 총 720만 원
- 신청 방법: 서울시 몽땅정보 만능키 누리집
참고 팁!!
- 신청은 보통 출산 후 60일 이내에 하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.
- 모든 지원은 거주지 동주민센터 또는 서울시 온라인 포털을 통해 가능하며, 출생신고와 동시에 안내받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중복 수혜 가능한 경우가 많으므로, 놓치지 않고 챙기세요!
서울시의 출산 및 육아 정책은 매년 확대되고 있습니다.
위의 정보는 2025년 현재 기준으로, 추후 개정될 수 있으니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나 복지 포털을 통해 최신 정보를 꼭 확인해 주세요.
부모님들의 멋진 육아를 응원합니다!
반응형